경기도에서 2025년부터 달라지는 여성, 가족, 아동 지원정책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새롭게 도입되거나 개선되는 사항이 많으니, 잘 확인하셔서 꼭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 경기가족친화기업 0.5&0.75잡 지원
- 기업 지원
- 근로시간 단축 근태시스템 컨설팅: 최대 2,000만원
- 추가 고용 장려금: 최대 월 120만원
- 노동자 지원
- 분담지원금: 최대 월 20만원
- 단축급여지원금: 최대 월 30만원
📍 경기도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지원 (신규)
- 대상: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3개월 이상 육아휴직자
- 지원금: 월 30만원씩 5개월 (최대 150만원)
- 지역: 하남, 광명, 여주 등 8개 시·군
📍 출생 축하카드 발송 (신규)
- 내용: 도지사 축하카드 발송
📍 경기 아이듬뿍 지원 (신규)
- 내용: 임신가정 축하 메시지, 예비부모 필독 도서 지원
📍 성폭력 피해자 퇴소자립지원 (신규)
- 지원금: 월 50만원, 최대 5년
- 대상: 시설 퇴소 당시 만 19세 이상(입소 당시 미성년자)
📍 가정폭력 피해자 가족보호시설 운영 (신규)
- 10세 이상 남아 동반 입소 가능 시설 확대
📍 112 신고 폭력 피해자 지원 ‘바로희망팀’ 확대
- 기존 8개 → 13개 시·군 (안성, 양평, 광주 등 추가)
📍 아이돌봄서비스 개선
- 이용료 인상: 시간당 11,630원 → 12,180원
- 중위소득 200% 이하까지 정부 지원 확대
- 아이돌보미 시급 인상: 10,110원 → 10,590원
- 영아돌봄수당 신설: 시간당 1,500원
📍 아이돌봄 본인부담금 지원 확대
- 둘째아 이상 → 다자녀(2명 이상) 가정, 연 30만원
📍 아이돌보미 건강증진비 인상
- 연 35,000원 → 50,000원 지원 (건강검진 포함)
📍 1인가구 지원 프로그램 확대
- 22개 → 26개 시군, 신규 프로그램 추가 (생활꿀팁 바구니)
📍 저소득 한부모가족 지원 강화
- 아동양육비: 월 21만원 → 23만원
- 학용품비 확대: 중·고등 → 초·중·고등학생 모두 지원
- 생필품비: 세대당 연 2회 각 5만원 → 6만원
📍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인상
- 아동양육비: 월 35만원 → 37만원
📍 공공형 어린이집 지원 강화
- 운영 활성화비: 영유아 1인당 월 3만원 → 4만원
- 안심보육반 선정요건 완화 및 지원금(반당 월 40만원)
📍 외국인 자녀 보육료 지원 확대
- 월 10만원 → 15만원 지원
📍 언제나 어린이집 확대 운영
- 기존 5개소 → 11개소로 확대
📍 맘대로 A+ 놀이터 설치 지원 확대
- 공공기관 유휴공간 → 민간임대 공간까지 확대
📍 결식아동 급식 지원단가 인상
- 1식당 9,000원 → 9,500원
📍 가족돌봄수당 지원 대상 시·군 확대
- 13개 → 21개 시·군으로 확대
📍 아동 긴급돌봄 서비스 확대
- 긴급돌봄 시·군 14개 → 21개로 확대
- 다함께돌봄센터 돌봄인력 호봉제 및 명절수당 지원
📍 방학 중 어린이 행복밥상 지원
- 중식비 지원기간 확대(학교 재량휴업일 포함)
📍 입양체계 개편
- 입양대상아동 보호 및 양부모 결연 중앙 및 지자체 일원화
📍 보호출산 신생아 긴급보호비 지원 (신규)
- 지원금: 아동 1인당 월 100만원, 최대 3개월(연장가능)
📍 입양 숙려기간 모자 지원 확대
- 최대 지원금: 70만원 → 140만원으로 인상
📍 장애아동 입양 양육보조금 지원 인상
- 경증: 월 551천원 → 634천원
- 중증: 월 627천원 → 721천원
📍 가정위탁아동 양육보조금 인상
- 월 400천원 → 450천원
📍 아동복지시설 마음건강 돌봄사업 (신규)
- 시설 아동 및 종사자 심리검사 및 소진예방비 지원
📍 새일여성인턴 고용유지 장려금 확대
- 지원금 총 380만원 → 460만원(80만원↑)
경기도의 변화된 여성·가족·아동 정책을 통해 보다 나은 삶을 지원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