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장위동에서 추진 중인 장위8구역 공공재개발 사업이 중요한 고비를 넘겼다.
2025년 11월 24일, 주민대표회의 공고를 통해 설계사 선정이 최종 완료되면서 장위8구역은 본격적인 인허가 단계로 진입했다.
이번 설계사 선정은 단순한 절차 완료가 아니라, 재개발 사업이 실질적으로 속도를 내기 시작하는 시점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설계사 선정 완료의 의미
장위8구역은 이미 주요 구조가 확정된 상태였다.
| 구분 | 진행 여부 |
|---|---|
| 공공재개발 후보지 지정 | 완료 |
| 사업 방식 확정 | 완료 |
| 시공사 선정 | 완료 |
| 설계사 선정 | 완료 (2025.11.24) |
설계사까지 확정되면서, 이제 장위8구역은 계획 단계에서 실행 단계로 넘어가는 분기점에 도달했다.
앞으로는 설계안을 바탕으로 행정 심의가 병렬로 진행되며, 일정 가시성이 크게 높아진다.
현재 장위8구역 재개발 단계 한눈에 보기
| 단계 | 상태 | 설명 |
|---|---|---|
| 공공재개발 선정 | 완료 | 서울시 공공재개발 사업 편입 |
| 사업 주체 구성 | 완료 | 공공기관 + 시공 구조 확정 |
| 시공사 선정 | 완료 | 시공 주체 결정 |
| 설계사 선정 | 완료 | 인허가용 설계 착수 가능 |
| 통합심의 | 예정 | 설계안 기반 행정 심의 |
| 사업시행인가 | 예정 | 법적 재개발 단계 진입 |
현재 위치는 설계 완료 전 단계가 아닌, 설계 기반으로 행정이 움직이기 시작한 단계다.
장위8구역 남은 재개발 예상 일정 정리
1단계 설계 계약 체결
| 항목 | 내용 |
|---|---|
| 예상 시기 | 2025년 12월 |
| 주요 내용 | 설계사와 정식 계약 체결 |
| 핵심 포인트 | 기본설계·인허가 설계 착수 |
이 단계부터 단지 배치, 동 배치 구조, 높이 계획 등 가시적인 설계안이 만들어진다.
2단계 설계안 구체화 및 통합심의 준비
| 항목 | 내용 |
|---|---|
| 기간 | 2025년 12월 ~ 2026년 상반기 |
| 주요 검토 | 교통·환경·경관·교육·도시계획 |
| 특징 | 관계기관 사전 협의 병행 |
통합심의 준비 구간은 사업 속도를 좌우하는 핵심 구간으로, 설계 완성도가 매우 중요하다.
3단계 통합심의 진행
| 항목 | 내용 |
|---|---|
| 예상 시기 | 2026년 상반기 ~ 하반기 |
| 진행 내용 | 서울시 통합심의 |
| 가능 변수 | 조건부 의결, 설계 수정 |
이 단계에서 동 수, 스카이라인, 공공기여 비율 등이 사실상 최종 형태로 조정된다.
4단계 사업시행인가 신청
| 항목 | 내용 |
|---|---|
| 예상 시기 | 2026년 하반기 |
| 주요 내용 | 사업시행계획 확정 및 신청 |
| 의미 | 법적으로 재개발 사업 인정 |
사업시행인가가 나오면 행정적 불확실성이 크게 줄어든다.
5단계 인가 이후 절차
| 단계 | 주요 내용 |
|---|---|
| 관리처분계획 준비 | 권리가액 산정 |
| 분양 구조 검토 | 공공·일반분양 비율 |
| 향후 절차 | 착공 및 분양 준비 |
이 시점부터는 실질적인 분양 일정 논의가 시작되는 구간이다.
앞으로 꼭 확인해야 할 체크포인트
| 구분 | 확인 내용 |
|---|---|
| 통합심의 | 설계 변경 여부 |
| 사업시행인가 | 인가 시점 |
| 관리처분 | 권리가액 산정 방식 |
| 분양 구조 | 공공·일반분양 비율 |
| 규제 | 토지거래허가구역 적용 |
현재 단계에서는 기대감보다 행정 진행 속도와 일정 관리 여부를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
정리
| 항목 | 상태 |
|---|---|
| 구조 결정 단계 | 종료 |
| 핵심 주체 확정 | 완료 |
| 인허가 단계 진입 | 진행 중 |
장위8구역은 공공재개발 사업지 중에서도 비교적 앞선 단계에 위치해 있다.
앞으로의 관건은 설계 완성도와 통합심의 일정이며, 2026년 사업시행인가가 핵심 분기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