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저출생 극복을 위해 **출산, 육아, 돌봄, 주거, 일·생활 균형까지 포괄하는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 시즌2’**를 본격적으로 시행합니다. 예비 양육자부터 신혼부부, 난임 가정, 양육자까지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원을 확대하여 서울을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로 만들겠다는 계획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서울시의 출산·양육 지원 정책과 혜택을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1. 돌봄·주거 지원
📌 자녀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 대상: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무주택 가구 (중위소득 180% 이하)
✅ 내용: 월 30만 원, 2년간 총 720만 원 지원
✅ 조건: 서울 소재 전세 3억 원 이하 또는 월세 130만 원 이하 임차주택 거주자 (공공임대주택 제외)
✅ 신청 방법: 2025년 5월부터 몽땅정보만능키에서 신청 가능
📌 신혼부부·양육자 공공주택 ‘미리 내 집’
✅ 2025년 3,500호 공급, 2026년부터 연 4,000호 확대
✅ 출산 가정 혜택
- 1자녀 가구: 거주 기간 10년 → 20년 연장
- 2자녀 이상 가구: 주택을 시세보다 최대 20% 저렴하게 매입 가능
📌 서울형 키즈카페 확대 운영
✅ 2025년까지 200개소 운영 목표
✅ 서울식물원, 서울백제어린이박물관, 목동야구장 등 서울 대표 명소에 조성
✅ 주말·행사 기간 동안 팝업형 키즈카페 운영
📌 양육친화주택 ‘아이사랑홈’ 공급
✅ 키즈카페, 키움센터, 어린이집 등 인프라를 갖춘 특화 주택
✅ 2029년까지 총 580세대 공급 목표
✅ ‘아이사랑홈’ 인증 아파트 2025년 52개소로 확대
📌 긴급·틈새 돌봄 서비스 확대
✅ 서울형 시간제 어린이집: 9개 자치구 → 25개 자치구로 확대
✅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 10개 자치구 → 25개 자치구로 확대
✅ 긴급·틈새보육 어린이집: 536개소 → 550개소로 확대
2. 일·생활 균형 및 양육친화 지원
📌 중소기업 워라밸 포인트제 신규 인센티브
✅ 출산·육아 친화 기업을 대상으로 포인트 지급 및 인센티브 제공
✅ 2025년 참여 기업 1,500개 확대
✅ 추가 인센티브 3종 도입
- 육아휴직자 대체인력 근로자 지원: 월 20만 원, 6개월 지급
- 동료응원수당: 육아휴직자 대직자 업무대행비 월 10만 원, 1년간 지급
- 서울형 출산휴가 급여 보전: 출산휴가 마지막 1개월 급여 최대 90만 원 지원
📌 소상공인 맞춤형 출산·양육 지원 3종 세트
✅ 육아휴직자 대체인력 지원: 월 246만 원, 최대 6개월 지원
✅ 민간 아이돌봄 서비스 연계: 아동 1명당 6개월간 최대 360만 원 지원
✅ 휴업 손실 지원: 출산·임신으로 휴업 시 최대 50만 원 지원
📌 1인 자영업자 출산·양육 지원
✅ 임산부 출산급여 지원: 기존 150만 원 + 서울시 90만 원 추가 = 총 240만 원 지급
✅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지원: 80만 원 지원
📌 육아용품 전문 할인몰 ‘탄생응원몰’ 오픈
✅ 기저귀, 분유 등 육아 필수품 최대 반값 구매 가능
✅ 2025년 2월 말 정식 오픈
📌 서울엄마아빠택시 확대
✅ 24개월 이하 양육 가정에 택시 이용권 10만 원 지원
✅ 운영 업체 2개사로 확대하여 배차 속도 개선
📌 가족 친화 인프라 확대
✅ 서울키즈오케이존 참여 매장 701개소 → 800개소 확대
✅ 가족화장실 54개소 → 700개소 확대
3. 만남·출산 지원 정책
📌 미혼남녀 만남 프로그램 확대
✅ 연 4회 개최 (청년의 날, 밸런타인데이 등과 연계)
✅ 대상 연령 45세까지 확대
✅ 기업 후원을 통해 전액 무료 운영
📌 서울마이웨딩 개선
✅ 공공예식장 운영 협력업체 5개 → 10개로 확대
✅ 복수 업체 중 선택 가능하도록 개선
✅ 외부업체 이용 가능한 ‘자율선택형’ 도입
📌 신혼부부 결혼살림 비용 지원
✅ 2025년 10월부터 시행
✅ 혼인신고 1년 이내 신혼부부(중위소득 150% 이하) 대상
✅ 최대 100만 원 지원
4. 2025년 서울시 출산·양육 혜택 한눈에 보기
지원명 | 대상 | 지원 내용 |
---|---|---|
첫만남이용권 | 출생신고 아동 | 첫째 200만 원, 둘째 이상 300만 원 지급 |
부모급여 | 0~1세 아동 | 0세: 월 100만 원, 1세: 월 50만 원 지급 |
아동수당 | 8세 미만 아동 | 아동 1인당 월 10만 원 지급 |
서울형 0세 전담반 | 12개월 미만 영아 | 어린이집 내 전담반 운영 |
긴급보육 지원 | 6개월~7세 이하 | 야간·주말·휴일 보육 서비스 제공 |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 | 출산한 무주택 가구 | 월 30만 원, 2년간 총 720만 원 지원 |
서울엄마아빠택시 | 24개월 이하 가정 | 택시 이용권 10만 원 지원 |
1인 자영업자 출산급여 | 출산한 1인 자영업자 | 240만 원 (정부+서울시 추가 지원) |
신혼부부 결혼살림비 지원 | 혼인신고 1년 이내 신혼부부 | 최대 100만 원 지원 |
서울시는 출산을 장려하고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예비 부모부터 신혼부부, 양육 가정까지 폭넓은 지원이 마련되어 있으니 놓치지 말고 적극 활용하세요!